맨위로가기

젠투 리눅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젠투 리눅스는 다니엘 로빈스에 의해 개발된 소스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이다. 사용자가 직접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설계되어 높은 수준의 사용자 정의와 유연성을 제공한다. 젠투는 BSD의 포트 시스템에서 영감을 얻은 포티지(Portage)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며, 다양한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2004년 젠투 재단이 설립되었으며, 젠투는 롤링 릴리스 모델을 따르며, 다양한 파생 배포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젠투 리눅스 - 포티지 (소프트웨어)
    포티지는 젠투 리눅스의 핵심 유틸리티로, 파이썬으로 작성된 BSD 스타일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며, 소스 코드 컴파일 및 USE 플래그를 통한 기능 선택을 지원하고 다른 운영체제로도 이식되고 있다.
  • 젠투 리눅스 - 젠툴킷
    젠툴킷은 젠투 리눅스 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효율적인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패키지 정보 조회, USE 플래그 관리, 보안 취약점 확인, 의존성 문제 해결, 디스크 공간 관리 등 다양한 도구들을 모아놓은 툴킷이다.
  • 파워PC 리눅스 배포판 - 데비안
    데비안은 이언 머독이 1993년에 시작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자 리눅스 배포판으로, 51,000개 이상의 패키지를 갖춘 저장소를 관리하며 자유/비자유 소프트웨어 설치를 지원하고 안정성, 보안, 사용자 정의 기능으로 널리 쓰인다.
  • 파워PC 리눅스 배포판 - 우분투
    우분투는 데비안을 기반으로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폭넓은 하드웨어 지원을 제공하는 자유-오픈소스 운영 체제로, 6개월마다 새로운 버전과 2년마다 장기 지원 버전을 출시하며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과 공식 파생 배포판을 제공하고 캐노니컬에서 주도적으로 개발하며 APT 기반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한다.
  • ARM 리눅스 배포판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독점적 지위 남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ARM 리눅스 배포판 - 타이젠
    타이젠은 리눅스 재단 주도로 삼성전자와 인텔이 후원하여 개발된 리눅스 기반 오픈 소스 운영체제로, 스마트폰, 스마트 TV, 웨어러블 기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다양한 기기 플랫폼을 지원하며 삼성전자는 바다 운영체제를 통합하여 생태계를 확장했고 웨어러블 기기에서는 Wear OS로 전환되었으나 스마트 TV에서는 계속 사용되고 있다.
젠투 리눅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젠투 로고
젠투 로고
KDE를 실행하는 젠투 리눅스 라이브 USB
개발자젠투 재단
프로그래밍 언어C

sh
파이썬
계열리눅스 (유닉스 계열)
작업 상태현재
소스 모델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초기 릴리스2002년 3월 31일
최신 릴리스 버전롤링 릴리스
패키지 관리자포티지
지원 플랫폼IA-32
x86-64
IA-64
PA-RISC (HPPA)
파워PC 32/64
SPARC 64비트
DEC 알파
ARM 32/64
MIPS
커널 종류모놀리식 커널 (리눅스 커널)
사용자 영역GNU, 비-GNU 사용자 영역 지원
사용자 인터페이스CLI, 다양한 창 관리자 및 데스크톱 환경 지원
라이선스자유 소프트웨어
웹사이트젠투 리눅스 공식 웹사이트
기타
발음/ˈdʒɛntuː/ (젠투)

2. 역사

젠투 리눅스의 이전 벡터 로고


젠투 리눅스는 원래 다니엘 로빈스에 의해 "이노크 리눅스"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리눅스 배포판이다.[6] 초기 개발 목표는 사용자의 하드웨어에 맞춰 최적화되고 필요한 프로그램만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1999년 12월, 이노크 리눅스 0.75 버전이 배포되었다.[7]

이후 GCC의 포크인 EGCS 실험 과정에서 배포판 이름이 "젠투 리눅스"로 변경되었으며,[8] FreeBSD의 포트 시스템에서 영감을 받아 자동화된 빌드 시스템인 Portage가 개발되었다.[9] 젠투 리눅스 1.0 버전은 2002년 3월 31일에 공식 출시되었다.[10]

2004년, 다니엘 로빈스는 비영리 단체인 젠투 재단을 설립하여 프로젝트의 저작권과 상표를 이전하고 수석 설계자 자리에서 물러났다.[11] 재단은 미국 뉴멕시코 주에 등록된 비영리 법인으로[16][17], 선출된 이사회[12][13]와 젠투 위원회[14]를 통해 운영된다. 로빈스는 이후 개발자들과의 갈등 등으로 2007년에 프로젝트를 완전히 떠났다.[20][21][22][23][24][25] 재단은 2007년 말 일시적으로 법인 자격이 취소되었으나[18] 2008년 5월 정상 상태로 복귀했다.[19]

2. 1. 초기 역사 (다니엘 로빈스와 이노크 리눅스)

젠투 리눅스는 원래 다니엘 로빈스에 의해 "이노크 리눅스"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발되었다. 초기 목표는 하드웨어에 맞춰 최적화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만 포함하며,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 파일 없이 소스 코드를 직접 컴파일하는 방식의 배포판을 만드는 것이었다.[6] 이노크 리눅스는 최소한 한 버전이 1999년 12월에 버전 0.75라는 이름으로 배포되었다.[7]

이후 다니엘 로빈스와 다른 개발자들은 Cygnus Solutions가 개발한 GCC포크인 EGCS를 실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배포판의 이름은 "이노크"에서 "젠투" 리눅스로 변경되었다. EGCS에 적용되었던 개선 사항들은 나중에 공식 GCC 버전 2.95에 통합되었고, 이를 통해 젠투 리눅스뿐만 아니라 다른 리눅스 배포판들도 비슷한 성능 향상 효과를 얻게 되었다.[8]

개발 과정 중 로빈스는 자신의 시스템에서 발생한 버그 문제로 잠시 젠투 개발을 중단하고 몇 달간 FreeBSD를 사용하기도 했다. 그는 이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의 자동 빌드 시스템(현재 Portage라고 불림)을 진정한 차세대 포트 시스템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 FreeBSD 기능을 추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9]

젠투 리눅스 1.0 버전은 2002년 3월 31일에 공식적으로 출시되었다.[10]

2. 2. 젠투 리눅스로의 전환과 발전

다니엘 로빈스와 다른 기여자들은 GCC의 포크인 Cygnus Solutions에서 개발한 EGCS를 실험했다. 이 과정에서 배포판의 이름은 "이노크 리눅스"에서 "젠투 리눅스"로 변경되었다. EGCS에 적용된 개선 사항들은 이후 공식 GCC 버전 2.95에 통합되어, 젠투 리눅스뿐만 아니라 다른 리눅스 배포판들도 성능 향상의 이점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8]

로빈스는 자신의 시스템에서 발생한 버그 문제로 인해 잠시 젠투 개발을 중단하고 몇 달간 FreeBSD를 사용했다. 이 경험을 통해 그는 FreeBSD의 포트 시스템에서 영감을 받아, 젠투의 자동화된 빌드 시스템(현재 Portage로 알려짐)에 여러 기능을 추가하여 더욱 발전시키기로 결정했다.[9]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젠투 리눅스 1.0 버전이 2002년 3월 31일에 공식적으로 출시되었다.[10]

2. 3. 젠투 재단 설립과 로빈스의 탈퇴

2004년, 젠투 리눅스의 창시자인 다니엘 로빈스는 비영리 단체인 젠투 재단을 설립했다. 그는 젠투 리눅스와 관련된 모든 저작권과 상표를 이 재단으로 이전했으며, 프로젝트의 수석 설계자 자리에서도 물러났다.[11] 이후 로빈스는 다른 개발자들과의 의견 차이 등으로 2007년에 프로젝트를 완전히 떠나게 되었다.[20][21][22][23][24][25]

젠투 재단은 미국 뉴멕시코 주에 등록된 비영리 법인이다.[16][17] 재단 운영은 이사회와 젠투 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진다. 현재 이사회는 5명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2008년 3월 2일에 발표된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다.[12][13] 또한, 기술적인 문제나 정책 결정 등을 담당하는 7명의 젠투 위원회가 있다.[14] 위원회 구성원은 활동 중인 젠투 개발자들이 매년 1년 임기로 선출하며, 만약 임기 중 위원이 그만두게 되면 남은 위원들의 투표를 통해 후임자를 결정한다.[15]

재단은 2007년 말에 일시적으로 헌장이 취소되는 일을 겪기도 했으나,[18] 2008년 5월에 뉴멕시코 주 정부로부터 정상 상태로 복귀했음을 인정받았다.[19]

3. 특징

젠투 리눅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세밀하게 제어하고 직접 구성하기를 원하는 GNU/Linux 사용자들을 위한 배포판이다.[94] 시스템 설정과 최적화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 의향이 있다면, 자신의 필요와 하드웨어 환경에 맞춰 매우 효율적인 데스크톱 환경이나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젠투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Portage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통해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를 소스 코드 형태로 내려받아 사용자 컴퓨터에서 직접 컴파일한다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USE 플래그라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각 소프트웨어 패키지에 포함될 세부 기능을 선택하거나 제외할 수 있으며, 컴파일 옵션을 조정하여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94]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리눅스 커널을 구축하고, 불필요한 기능을 제외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는 등 시스템 전반에 걸쳐 높은 수준의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다.[94] 이러한 높은 수준의 사용자 정의 가능성과 적응성 때문에 젠투 리눅스는 종종 "메타 배포판"이라고 불리기도 한다.[99] 구글크롬OS는 Portage 시스템의 이러한 유연성을 활용하여 젠투 리눅스를 기반 운영체제로 채택하고 있다.[101]

물론, 모질라 파이어폭스나 LibreOffice처럼 컴파일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일부 대형 소프트웨어의 경우,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 패키지를 설치하여 시간을 절약하는 방법도 지원한다. 젠투 자체는 특정한 기본 모양 및 느낌을 강제하지 않으므로, 설치된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해당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의도한 모습 그대로 나타난다.[94] 젠투(Gentoo)라는 이름은 젠투펭귄에서 유래했으며, 공식 마스코트 캐릭터는 'Larry the Cow'이다.[100]

3. 1. 포티지(Portage) 패키지 관리 시스템

Installing software. In this example, Darktable will build with Flickr and geolocation support.
소프트웨어 설치 예시. 다크테이블(Darktable)이 플리커(Flickr) 및 지리적 위치 지원과 함께 빌드된다.


포티지(Portage)는 젠투 리눅스의 소프트웨어 배포패키지 관리 시스템으로, BSD 운영 체제의 포트 시스템 구조에 기반하여 만들어졌다.[26]

포티지는 패키지 설치 절차를 기록한 ebuild라는 스크립트를 참조하여 시스템을 구축한다. 패키지 관리 명령어인 `emerge`는 이 스크립트를 참조하여 소스 코드다운로드하고, 설정 및 컴파일 과정을 거쳐 지정된 디렉토리에 설치를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소스 코드 다운로드 -> 컴파일 -> 설치' 순서로 진행되며, 이는 APT나 RPM과 같이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 패키지를 사용하는 시스템과의 큰 차이점이다. 젠투 저장소는 19,000개 이상의 패키지를 제공한다.[26]

`emerge` 명령어를 통해 젠투 저장소의 로컬 사본 업데이트, 패키지 검색, 패키지 및 종속성 다운로드, 컴파일, 설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26] 각 패키지는 필요한 모든 종속성 정보를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최소한의 패키지만 설치할 수 있다.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구축하는 특징 덕분에, 사용자는 USE 플래그를 이용하여 개별 패키지 또는 시스템 전역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고 컴파일 옵션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26][94] 예를 들어 LDAP나 Qt 지원 여부 등을 선택하면, 해당 기능에 필요한 요구사항이 종속성 집합에 자동으로 포함된다.[94] 이를 통해 시스템 전체의 유연성과 사용자 정의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며, 특정 CPU나 시스템 환경에 최적화된 바이너리를 생성하여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ebuild 스크립트를 여러 아키텍처에서 사용하므로 유지보수성과 이식성도 높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사용자 정의 가능성 때문에 크롬OS는 기반 리눅스 시스템으로 젠투 리눅스를 채택하고 있다.[101]

그러나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는 방식은 시스템 성능이나 네트워크 속도가 낮은 환경에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LibreOffice나 모질라 파이어폭스와 같이 빌드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부 애플리케이션, 또는 어도비 플래시처럼 소스 코드가 공개되지 않은 프로그램의 경우, 컴파일 과정을 생략하고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방식도 지원한다.[27] 다만 이 경우, 컴파일 옵션 조정을 통한 최적화나 기능 선택의 이점은 활용할 수 없다.

컴파일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여러 설정 옵션도 제공된다. 병렬 컴파일을 활성화하거나, 임시 파일 대신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27] 또한, 여러 컴퓨터에 패키지 컴파일 작업을 분산시키거나[28] 메모리에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여 빌드 속도를 높이는 방법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접근 방식들은 특정 단점을 가질 수 있어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지는 않다. 하드웨어가 유사한 여러 컴퓨터에 동일한 패키지를 설치할 때, 한 컴퓨터에서 패키지를 컴파일한 후 바이너리 패키지를 생성하여 다른 컴퓨터에 빠르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29]

2023년 12월 29일, 젠투는 바이너리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직접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공식적으로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대부분의 아키텍처에서는 코어 시스템 및 주간 업데이트로 제한되지만, amd64 및 arm64 아키텍처의 경우 제공되는 바이너리 패키지의 총량은 20GB를 넘는다.[30] 과거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존재했던 젠투 레퍼런스 플랫폼(Gentoo Reference Platform, GRP)도 미리 컴파일된 패키지를 사용하여 설치 시간을 단축하는 방식이었으나, 소스 코드 기반 구축의 장점을 누릴 수는 없었다.

3. 2. 높은 수준의 사용자 정의 및 유연성

젠투 리눅스는 컴퓨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자가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94] 젠투 시스템을 구성하고 조정하는 데 시간을 투자할 의향이 있는 사용자는 매우 효율적인 데스크톱 환경과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젠투는 사용자가 특정 하드웨어에 맞게 조정된 리눅스 커널을 직접 구축하도록 권장한다. 사용자는 기본 init 시스템으로 systemd 또는 OpenRC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실행되는 서비스를 매우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커널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외하여 다른 배포판에 비해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94]

젠투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인 Portage는 방대한 소프트웨어 모음을 제공한다. 각 패키지에는 필요한 모든 종속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는 필요한 최소한의 패키지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USE 플래그라는 시스템을 통해 개별 패키지의 선택적 기능을 쉽게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패키지에 LDAP 지원이나 Qt 지원이 필요한지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요한 종속성이 자동으로 관리된다.[94]

젠투는 기본적으로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USE 플래그를 이용하여 컴파일 옵션을 비교적 쉽게 조정하여 시스템을 최적화할 수 있다. 하지만 모질라 파이어폭스나 LibreOffice와 같이 컴파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부 소프트웨어의 경우, 컴파일 최적화를 포기하는 대신 설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 패키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젠투는 설치 과정 역시 독특하다. 일반적으로 설치 미디어로 시스템을 부팅한 뒤, 설치에 필요한 최소한의 파일들을 내려받고, Portage를 사용하여 나머지 시스템을 구축해나가는 방식을 따른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사용자 정의 가능성과 유연성 때문에 젠투 리눅스는 종종 "메타 배포판"으로 불리기도 한다[99]. 구글크롬OS는 Portage의 높은 사용자 정의 기능을 활용하여 젠투 리눅스를 기반 시스템으로 채택하고 있다.[101]

젠투 자체는 특정한 기본 모양 및 느낌을 강제하지 않으므로, 설치된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해당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의도한 모습 그대로 나타난다.[94]

3. 3. 성능 최적화

젠투 리눅스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업그레이드할 때 소스 코드를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직접 컴파일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CPU 특성이나 특정 하드웨어에 맞춰 리눅스 커널을 구축하고, USE 플래그를 이용해 필요한 기능만 선택하여 컴파일 옵션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94]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고, 매우 효율적인 데스크톱 환경이나 서버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시스템 구성 과정에서 필요하지 않은 커널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리눅스 배포판에 비해 메모리 사용량을 줄여 시스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94]

모든 소프트웨어를 직접 컴파일하는 방식은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모질라 파이어폭스나 LibreOffice와 같이 규모가 큰 일부 소프트웨어의 경우, 컴파일을 통한 최적화 효과를 일부 포기하더라도 설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 패키지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4. 이식성

젠투 리눅스는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패키지를 빌드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머신 아키텍처로 이식하기 용이하다.[31] 원래 IA-32 (x86) 환경에 맞춰 개발되었으나, 리눅스 커널, GCC, Glibc, Portage 등의 높은 이식성 덕분에 여러 다른 환경으로 성공적으로 포팅되었다.

공식적으로 지원되는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다.[32][33][34][35][36]

젠투 리눅스 아키텍처 지원 현황
구분아키텍처비고
공식 지원 (안정)IA-32 (x86)초기 개발 환경
x86-64 (AMD64)
PA-RISC (HPPA)
PowerPC32비트 및 64비트
SPARC64비트 (SPARC64)
DEC Alpha
ARM32비트 및 64비트
IA-64 (Itanium)
MIPS
공식 지원 (개발 중)PS3 Cell 프로세서플레이스테이션 3 탑재
System Z/s390
지원 중단SPARC32비트
SuperH



또한, Gentoo/Alt 프로젝트를 통해 리눅스 외 다른 운영 체제로의 이식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macOS를 포함한 BSD 계열 운영 체제(FreeBSD, NetBSD, OpenBSD, DragonFly BSD)로의 이식 작업이 개발되고 있으며, FreeBSD 이식 버전인 Gentoo/FreeBSD는 FreeSBIE를 기반으로 한 작동 가이드가 존재한다.[37][38] 과거 GNU Hurd[39]나 OpenSolaris로의 이식 시도도 있었으며, Windows의 Cygwin 환경에서 젠투를 설치하는 실험적인 방법도 존재한다.[40]

5. 설치

젠투 리눅스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젠투 최소 CD와 스테이지 3 tarball을 사용하는 것이며, 설치 과정은 젠투 핸드북을 참조하는 것이 좋다. 라이브 CD 외에도 다른 리눅스 배포판의 Live USB나 네트워크 부팅 등 거의 모든 리눅스 환경에서 설치할 수 있다. 일반적인 설치에는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지만, 네트워크 없이 설치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2022년 4월 3일에는 GUI가 포함된 공식 LiveGUI 이미지가 발표되었다. 이 이미지는 USB 드라이브나 듀얼 레이어 DVD에 설치할 수 있으며, KDE Plasma 5 데스크톱 환경을 비롯해 이미지 편집기, 오피스 소프트웨어, 시스템 관리 및 설치 도구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포함되어 설치 편의성을 높였다.[41]

과거에는 스테이지 1, 2부터 설치를 시작할 수도 있었으나, 2005년 11월 이후 공식적으로는 스테이지 3 설치만 지원한다. 스테이지 1, 2 tarball은 현재 젠투 개발자들만 사용한다.[42] 스테이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문단에서 다룬다.

젠투 설치 과정의 특징 중 하나는 리눅스 커널을 직접 컴파일해야 한다는 점인데, 이는 다른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흔하지 않아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Genkernel과 같은 도구나 미리 컴파일된 커널 패키지를 사용하면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존 커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설치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젠투 공식 포럼[43], Reddit[44], IRC[45] 등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Live USB는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거나, 핸드북에 설명된 대로 dd 명령어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젠투는 설치 및 업그레이드 시 소프트웨어를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에 맞춰 로컬에서 컴파일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며, 이때 USE 플래그를 통해 컴파일 옵션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모질라 파이어폭스나 LibreOffice처럼 컴파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부 소프트웨어는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 패키지를 설치하여 시간을 절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높은 자유도와 사용자 맞춤 설정 가능성 때문에 젠투는 "메타 배포판"으로 불리기도 한다[99]. 크롬OS 역시 이러한 특징 때문에 젠투를 기반 시스템으로 사용하고 있다[101]. 마스코트 캐릭터는 Larry the Cow[100]이며, '''Gentoo'''라는 명칭은 젠투펭귄에서 유래되었다.

공식적인 설치 프로그램이 없어 설치 난이도는 높은 편으로 평가받지만, 일단 설치를 마치면 Portage 시스템을 통해 시스템 전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쉬워 관리는 설치 작업만큼 어렵지 않다. 이는 대부분의 추가 패키지를 수동으로 빌드해야 하는 슬랙웨어와 비교했을 때 관리 측면에서 더 용이할 수 있다.

5. 1. 설치 단계 (Stages)

2005년 10월 이전에는 젠투 리눅스 설치를 세 가지 기본 스테이지 중 하나에서 시작할 수 있었다.

  • '''스테이지 1''': 대상 시스템을 위한 툴체인(다른 소프트웨어를 컴파일하는 데 필요한 컴파일러, 링커, 라이브러리 등)을 구축하는 단계부터 시작한다. 다른 시스템 환경에서 대상 시스템의 툴체인을 컴파일하는 것을 부트스트래핑이라고 한다.
  • '''스테이지 2''': 대상 시스템을 위한 셀프 호스팅(자체적으로 컴파일 가능한) 툴체인을 가지고 시작하며, 이 툴체인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다른 핵심 유저랜드 소프트웨어를 컴파일한다.
  • '''스테이지 3''': 최소한의 유저랜드 소프트웨어가 이미 컴파일된 상태에서 시작하며, 이를 이용해 커널 및 필요한 추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고 컴파일한다.


하지만 2005년 10월 이후, 젠투는 공식적으로 스테이지 3 설치만을 지원한다.[46] 이는 스테이지 1이나 2부터 시작하는 부트스트래핑 과정이 여러 순환 종속성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등 복잡하기 때문이다.[46] 스테이지 1 및 스테이지 2용 Tar볼은 이후 한동안 배포되었지만, 관련 설치 지침은 공식 핸드북에서 제거되어[47] FAQ 문서로 옮겨졌다.[48]

현재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은 지원되는 스테이지 3 tarball 뿐이며, 스테이지 1 및 스테이지 2 tarball은 젠투 개발팀 내부에서만 사용된다.[42] 그렇지만 사용자가 원한다면, 일반적인 스테이지 3 설치 과정 중이나 이후에 툴체인을 다시 빌드하거나 기본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재설치하는 방식으로 이전 스테이지부터 시작하는 과정을 간접적으로 수행해 볼 수는 있다.[49]

6. 릴리스 및 버전

젠투는 롤링 릴리스 모델을 따르므로, 일반적인 리눅스 배포판처럼 명확한 버전 번호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시스템의 /etc/gentoo-release 파일은 설치된 sys-apps/baselayout 패키지의 버전을 나타낸다.

=== 라이브 미디어 ===

초기에는 숫자 기반 버전 번호를 사용했으나, 2004년부터는 라이브 미디어 버전을 출시 연도별로 지정하기 시작했다. 이 방식은 2008년까지 이어졌다.

젠투 리눅스 라이브 미디어 버전 역사 (초기 ~ 2008년)
이름날짜비고
(이녹스 리눅스)(Enoch Linux) 0.751999년 12월
pre-1.02000년 7월 26일
1.0[56]2002년 3월 31일
1.1a2002년 4월 8일
1.22002년 6월 10일
1.42003년 8월 5일젠투 레퍼런스 플랫폼(Gentoo Reference Platform, GRP) 도입
1.4 유지보수 릴리스 12003년 9월 11일
2004.0[57]2004년 3월 1일[58]버전 관리 체계가 연 4회 릴리스로 변경
2004.12004년 4월 28일
2004.22004년 7월 26일[59]
2004.32004년 11월 15일[60]
2005.0[61]2005년 3월 27일[62]버전 관리 체계가 연 2회 릴리스로 변경
2005.1[63]2005년 8월 8일[64]
2005.1-r12005년 11월 21일[65]유지보수 릴리스 1
2006.02006년 2월 27일[66]
2006.12006년 8월 30일[67]
2007.02007년 5월 7일[68]
2008.02008년 7월 6일[69]



2008년 9월 22일, 젠투는 배포 정책을 변경하여 '기본으로 돌아간다' 및 '최신 설치 환경을 더 철저히 유지한다'는 기조 아래, 버전 기반 릴리스(2008.1 개발 중단) 대신 주간 단위로 스테이지 압축 파일과 미니멀판 디스크만을 업데이트하여 제공하기 시작했다.[111][54] 첫 주간 빌드는 2008년 12월 20일에 게시되었다.[55]

=== 특별판 라이브 미디어 ===

젠투 10주년을 기념하여 2009년에 특별 라이브 DVD가 출시되었다. 초기에는 일회성으로 계획되었으나 사용자들의 호응에 힘입어 이후에도 업데이트 및 특별판 DVD가 불규칙적으로 출시되었다.[72]

설치 미디어 특별판 버전 이력
버전/명칭날짜정보
언리얼 토너먼트 2003 LiveCD2002년 9월 18일[71]부팅 가능한 NVIDIA GPU 가속 언리얼 토너먼트 2003 LiveCD, 리눅스월드 컨퍼런스 앤 엑스포 2003 시연
10.02009년 10월 4일[72][112]10주년 기념 특별판 Live DVD (리눅스 커널 2.6.30, KDE 4.3.1, GNOME 2.26.3, Xfce 4.6.1 등 포함)
10.12009년 10월 10일[73]10.0 특별판 Live DVD 버그 수정 릴리스
11.02011년 4월 8일[74][113]기념 Live DVD 업데이트 (리눅스 커널 2.6.37, KDE SC 4.6, GNOME 2.32, Xfce 4.8, Enlightenment 1.0.7 등 포함)
12.02012년 1월 2일[75]
12.12012년 4월 1일[76]"설치 마법사(Install Wizard)" 만우절 농담 포함
20121221 (종말 에디션)2012년 12월 21일[77]2012년 종말론 패러디
20140826 (아이언 펭귄 에디션)2014년 8월 26일[78]
20160514 (초이스 에디션)2016년 5월 14일[79]UEFI, ZFSOnLinux, AUFS 기반 쓰기 가능 파일 시스템 지원
20160704 (초이스 에디션 Part Dos)[80]2016년 7월 4일[81]
20170118 (바삭한 벨기에 와플 에디션)2017년 1월 18일벨기에 FOSDEM 2017 배포[107]



=== 프로파일 ===

젠투는 전체 시스템의 버전 관리 대신, 시스템의 모든 패키지에 대한 빌드 구성을 정의하는 "프로파일(Profiles)"을 사용한다. 주요 시스템 변경 사항(예: 파일 설치 방식 변경)은 프로파일 업그레이드를 통해 이루어지며, 때로는 설치된 모든 소프트웨어를 다시 빌드해야 할 수도 있다. 프로파일은 출시 연도를 기준으로 버전이 관리되며, 서버나 데스크톱 등 다양한 시스템 유형을 위한 변형을 포함한다. 프로파일 버전 명명법은 과거 설치 미디어 버전 관리를 따르다가, 버전 관리 미디어가 중단된 후 2자리 연도 명명법으로 전환되었다. 2008.0 이후 주요 프로파일 버전은 다음과 같다.

주요 프로파일 버전
버전날짜주요 변경 사항
10.02009년 8월 6일[82]2008.0 프로파일에서 이름 변경
13.02013년 2월 10일[83]
17.02017년 11월 30일[84]C++14 및 PIE 기본값 적용
17.12017년 12월 26일[85]amd64 시스템용 멀티립 레이아웃 변경
23.02024년 3월 22일[86]/usr 병합 기본값 적용


7. 파생 배포판

크로미엄 OS를 포함하여 여러 개의 독립적으로 개발된 젠투 리눅스 변형이 존재한다.

젠투 계통도


이름개요
Calculate Linux바이너리 패키지를 사용한 롤링 릴리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지만, Portage를 통한 소스 코드로부터의 패키지 설치도 가능하다.
ChromeOSChromeOS[108][109]는 Chromebook과 Chromebox에 탑재된 구글(Google)이 개발한 OS이다. 2010년 2월에 모체가 되는 OS를 Ubuntu에서 젠투로 변경했다. 주로 인터넷에 접속된 환경에서 사용되며 구글 크롬(Google Chrome)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다.
Chromium OSChromium OS는 구글이 개발한 ChromeOS의 오픈 소스 버전이다.
Container Linux구칭은 CoreOS Linux이다. 경량 OS이다. 2020년에 개발이 종료되었다.
FireballISOLive CD로 부팅하여 사용하는 가상 어플라이언스. 필요한 최소한의 패키지를 포함한 Live CD이다.
Funtoo젠투 리눅스 프로젝트의 시작자인 Daniel Robbins가 시작한 프로젝트이다. Robbins는 그 당시에 젠투 리눅스 프로젝트를 떠났다. 젠투 리눅스에서 사용되던 코어에 관한 구조를 개선한다는 방침에 따라 개발되고 있다. 젠투 리눅스와의 두드러진 차이점으로 Funtoo에는 Systemd 지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Incognito익명성과 보안에 특화된 Live CD 또는 Live USB이다.
Nova쿠바에서 개발되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Microsoft Windows)의 대체가 당국에 의해 시도되고 있다.
Pentoo침투 테스트와 보안 평가에 특화된 Live CD 또는 Live USB이다.
Sabayon Linux젠투 리눅스의 파생 GNU/Linux이다. 젠투와 비교하여 설치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어 설치 난이도가 압도적으로 쉬워졌다. 젠투의 특징인 기능 확장은 쇠퇴했지만,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동봉된 Live DVD이다.
Redcore Linux젠투 리눅스의 성능에 가까운 것을 간단한 설정으로 실현하고 있다.
Tin Hat Linux높은 보안, 안정성, 그리고 고속성을 겸비한 데스크톱 환경이다. 부트 장치를 마운트하지 않고 완전히 RAM 상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었다.
Ututo배포판 이름은 아르헨티나 북부에서 볼 수 있는 게코(Gecko) 종류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자유 소프트웨어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리처드 스톨만(Richard Stallman)은 이 배포판을 지지하여 자신의 머신에 설치했다.
Hroontoo2010년에 개인이 제작한 관리자용 배포판이다. Live CD이다.
VidaLinux프리 버전과 상용 버전의 두 종류의 라이선스가 존재했지만 2010년에 개발이 종료되었다. GNOME을 배포판의 중심으로 했다.


8. 기타


  • 2008년 9월 22일부터 젠투 리눅스의 배포 정책이 '기본으로 돌아간다' 및 '최신 설치 환경을 더 철저히 유지한다'는 기조 아래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주마다 스테이지 압축 파일과 미니멀(minimal)판 디스크만을 업데이트하여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2008.1판의 개발은 중단되었다.[111]
  • 2009년 10월 4일에는 젠투 리눅스 10주년을 기념하여 라이브 DVD 10.0 버전이 출시되었다. 이 버전에는 리눅스 커널 2.6.30, KDE 4.3.1, GNOME 2.26.3, Xfce 4.6.1 등이 포함되었다.[112]
  • 2011년 3월 8일에는 11주년 기념 라이브 DVD 11.0 버전이 출시되었다. 여기에는 리눅스 커널 2.6.37, KDE SC 4.6, GNOME 2.32, Xfce 4.8, Enlightenment 1.0.7 등이 포함되었다.[113]
  • 2018년 6월, 개발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젠투 깃허브(GitHub) 코드 저장소 미러가 해킹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공격자는 계정 비밀번호 추측을 통해 조직 관리자 계정에 접근했다. 젠투 측은 즉시 공격을 차단하고 보안 방식을 개선하는 등 신속하게 대응했다. 이 사건으로 젠투의 암호 키나 서명된 패키지는 손상되지 않았으며, 저장소는 5일 만에 복구되었다.[89][90][91][92][93]
  • 젠투 리눅스라는 이름은 수중에서 가장 빠르게 헤엄치는 젠투 펭귄에서 유래했다. 이는 리눅스의 마스코트인 턱스(Tux)와 고성능 운영 체제를 만들려는 프로젝트의 목표를 함께 나타낸다.[94] 젠투 리눅스의 비공식 마스코트로는 ''래리 더 카우''(Larry The Cow)[5][100]와 ''즈너트 더 플라잉 소서''(Znurt the Flying Saucer)[95]가 있다.
  • 젠투 리눅스는 다른 리눅스 배포판과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설치 및 업그레이드 시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직접 소프트웨어를 컴파일한다는 점이다. 사용자는 USE 플래그를 사용하여 비교적 쉽게 컴파일 옵션을 조정할 수 있다. 다만, 모질라 파이어폭스나 LibreOffice와 같은 일부 대형 소프트웨어의 경우, 컴파일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치 방식 또한 독특한데, 일반적으로 설치 미디어로 부팅한 후 필요한 최소한의 패키지만 내려받아 Portage 시스템을 이용해 전체 시스템을 구축해나가는 방식을 권장한다. 이러한 높은 자유도와 적응성 때문에 젠투 리눅스는 '메타 배포판'으로 불리기도 한다.[99]
  • 크롬OS는 Portage 시스템의 높은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가능성을 활용하여 기반 리눅스 시스템으로 젠투 리눅스를 채택하고 있다.[101]

참조

[1] 웹사이트 Funtoo Linux History https://www.funtoo.o[...] funtoo.org 2019-05-25
[2] 웹사이트 PR: Gentoo Linux 1.0 Released http://www.linuxtoda[...] 2022-04-01
[3] 웹사이트 Gentoo Linux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iki.gentoo.[...]
[4] 웹사이트 Binary package guide https://wiki.gentoo.[...] gentoo.org
[5] 웹사이트 Gentoo Linux – About Gentoo https://www.gentoo.o[...] Gentoo.org 2007-09-17
[6] 웹사이트 Gentoo Linux Documentation – Making the distribution, Part 1 http://www.gentoo.or[...] 2005-10-09
[7] 웹사이트 Planet Mirror – enoch – Enoch Linux – enoch-0.75 – download now http://public.planet[...] 2007-02-11
[8] 웹사이트 Gentoo Linux Documentation – Making the distribution, Part 2 http://www.gentoo.or[...] 2005-10-09
[9] 웹사이트 Gentoo Linux Documentation – Making the distribution, Part 3 http://www.gentoo.or[...] 2005-10-09
[10] 웹사이트 Slashdot | Gentoo 1.0 Released https://linux.slashd[...] 2002-03-31
[11] 웹사이트 Daniel Robbins Resigns As Chief Gentoo Architect https://developers.s[...] 2004-04-26
[12] 웹사이트 Gentoo Linux Wiki – The Board of Trustees https://wiki.gentoo.[...] 2018-01-21
[13] 웹사이트 Gentoo Linux – New foundation trustees elected http://www.gentoo.or[...] 2008-03-02
[14] 웹사이트 Gentoo Council https://wiki.gentoo.[...]
[15] 웹사이트 Gentoo Council //wiki.gentoo.org/wi[...] 2014-01-06
[16] 웹사이트 Gentoo Foundation Charter https://wiki.gentoo.[...]
[17] 웹사이트 GENTOO FOUNDATION, INC. http://www.nmprc.sta[...] 2009-05-08
[18] 웹사이트 Gentoo loses charter; Robbins offers to return https://lwn.net/Arti[...] LWN.net 2008-01-14
[19] 웹사이트 Gentoo Foundation, Inc. https://efile.prc.ne[...] New Mexico Corporation Division Efile
[20] 웹사이트 Daniel Robbins Resigns As Chief Gentoo Architect - Slashdot https://developers.s[...] 2004-04-26
[21] 웹사이트 Daniel Robbins leaves Gentoo, again [LWN.net] https://lwn.net/Arti[...]
[22] 웹사이트 652240 – 7 day gentoo-project ban for Daniel Robbins https://bugs.gentoo.[...]
[23] 웹사이트 Gentoo Forums :: View topic - Quite late but why Daniel Robbins left Gentoo? https://forums.gento[...]
[24] 웹사이트 DistroWatch.com: Put the fun back into computing. Use Linux, BSD. https://distrowatch.[...]
[25] 웹사이트 Gentoo attempts to deal with developer conflicts https://www.linux.co[...] 2007-03-26
[26] 서적 Live Linux CDs: Building and Customizing Bootables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Professional
[27] 웹사이트 CFLAGS and CXXFLAGS https://wiki.gentoo.[...] 2014-12-13
[28] 웹사이트 Distcc https://wiki.gentoo.[...] 2018-02-02
[29] 웹사이트 Binary package guide https://wiki.gentoo.[...] 2017-11-13
[30] 웹사이트 Gentoo goes Binary! https://www.gentoo.o[...]
[31] 서적 Practical Raspberry Pi https://books.google[...] Apress 2013-03-26
[32] 웹사이트 Handbook:Main Page - Gentoo Wiki https://wiki.gentoo.[...]
[33] 웹사이트 Gentoo/MIPS https://wiki.gentoo.[...] gentoo.org
[34] 웹사이트 Gentoo Linux Documentation – s390 Installation Document https://dev.gentoo.o[...] dev.gentoo.org 2004-05-12
[35] 웹사이트 Gentoo Development Guide: Arch Specific Notes – SPARC https://devmanual.ge[...] devmanual.gentoo.org
[36] 웹사이트 */*: Discontinue Gentoo SuperH port https://gitweb.gento[...] 2020-07-23
[37] 웹사이트 Gentoo FreeBSD https://wiki.gentoo.[...] gentoo.org 2014-01-06
[38] 웹사이트 Gentoo Linux Projects – Gentoo/*BSD https://web.archive.[...] Gentoo.org 2006-10-19
[39] 웹사이트 Gentoo GNU Hurd https://web.archive.[...] Mundurat.net
[40] 웹사이트 Gentoo Wiki - Prefix/Cygwin https://wiki.gentoo.[...]
[41] 웹사이트 New Gentoo LiveGUI ISO and artwork / branding contest! https://www.gentoo.o[...]
[42] 뉴스 How do I Install Gentoo Using a Stage1 or Stage2 Tarball? https://wiki.gentoo.[...]
[43] 웹사이트 Gentoo Forums :: View Forum - Installing Gentoo https://forums.gento[...]
[44] 웹사이트 r/Gentoo https://www.reddit.c[...]
[45] 웹사이트 IRC channels – Gentoo Linux https://www.gentoo.o[...]
[46] 웹사이트 Gentoo Linux Newsletter – November 14th, 2005 https://web.archive.[...] Gentoo.org
[47] 웹사이트 Stage1/2 deprecation from Gentoo Handbook https://archives.gen[...] Gentoo 2005-11-05
[48] 웹사이트 Gentoo Linux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iki.gentoo.[...] gentoo.org
[49] 웹사이트 Sakaki's EFI Install Guide/Building the Gentoo Base System Minus Kernel https://web.archive.[...] Sakaki 2014-07-04
[50] 뉴스 Gentoo Linux Reloaded http://www.linuxdevc[...] 2002-10-10
[51] 뉴스 Gentoo Linux 2004.0 Released https://www.osnews.c[...] 2004-03-01
[52] 웹사이트 Gentoo Linux Documentation https://web.archive.[...]
[53] 웹사이트 Gentoo Linux Documentation https://web.archive.[...]
[54] 웹사이트 Gentoo News – New release strategy to provide more current install media https://web.archive.[...] Gentoo.org 2008-09-22
[55] 웹사이트 Gentoo News – First sets of weekly stage3 tarballs and minimal CDs released https://web.archive.[...] Gentoo.org 2008-12-20
[56] 웹사이트 Review of Gentoo Linux 1.0 https://www.osnews.c[...]
[57] 웹사이트 Gentoo for All the Unusual Reasons https://www.linuxjou[...]
[58] 웹사이트 Gentoo Linux Newsletter – March 1st, 2004 https://web.archive.[...] Gentoo.org
[59] 웹사이트 Today marks the release of Gentoo Linux 2004.2 for the AMD64, HPPA, SPARC and X86 architectures! https://web.archive.[...] gentoo.org 2004-07-26
[60] 웹사이트 Gentoo Linux Newsletter – November 15, 2004 https://web.archive.[...] Gentoo.org
[61] 간행물 Mini review: Gentoo Linux 2005.0 https://distrowatch.[...] 2005-05-09
[62] 웹사이트 Gentoo Linux – Release Announcement: Gentoo Linux 2005.0 https://web.archive.[...] Gentoo.org 2005-03-27
[63] 웹사이트 A Slacker Tries His Hand at Gentoo https://www.osnews.c[...]
[64] 웹사이트 Gentoo Linux – Release Announcement: Gentoo Linux 2005.1 https://web.archive.[...] Gentoo.org 2005-08-10
[65] 웹사이트 Gentoo Linux – Media Refresh: Gentoo Linux 2005.1-r1 https://web.archive.[...] Gentoo.org 2005-11-21
[66] 웹사이트 Gentoo Linux – Release Announcement: Gentoo Linux 2006.0 https://web.archive.[...] Gentoo.org 2006-02-27
[67] 웹사이트 Gentoo Linux – Gentoo Linux 2006.1 – Unleashed https://web.archive.[...] Gentoo.org 2006-08-30
[68] 웹사이트 Gentoo Linux – Gentoo Linux 2007.0 released https://web.archive.[...] Gentoo.org 2007-05-07
[69] 웹사이트 Gentoo Linux – Gentoo Linux 2008.0 released https://web.archive.[...] Gentoo.org 2008-07-06
[70] 웹사이트 Gentoo Linux – New release strategy to provide more current install media https://web.archive.[...] Gentoo.org 2008-09-22
[71] 웹사이트 Unreal Tournament 2003 LiveCD http://freshmeat.sou[...] sourceforge.net 2003-04-13
[72] 웹사이트 Gentoo Linux – Ten Years Compiling: 1999–2009 https://www.gentoo.o[...] Gentoo.org 2009-10-04
[73] 웹사이트 Gentoo Ten Live DVD 10.1 Release http://www.gentoo.or[...] Gentoo.org 2009-10-23
[74] 웹사이트 Gentoo Linux - LiveDVD 11.0 http://www.gentoo.or[...] Gentoo.org 2011-03-08
[75] 웹사이트 Gentoo Linux releases 12.0 LiveDVD http://www.gentoo.or[...] Gentoo.org 2012-01-02
[76] 웹사이트 Gentoo Linux releases 12.1 LiveDVD http://www.gentoo.or[...] Gentoo.org 2012-04-01
[77] 웹사이트 Gentoo Linux releases 20121221 LiveDVD - End Of World Edition http://www.gentoo.or[...] Gentoo.org 2012-12-21
[78] 웹사이트 Gentoo Linux releases the 20140826 LiveDVD - Iron Penguin Edition http://www.gentoo.or[...] Gentoo.org 2014-08-26
[79] 웹사이트 Gentoo Linux releases the 20160514 LiveDVD - Choice Edition https://wiki.gentoo.[...] Gentoo.org 2016-05-14
[80] 간행물 Gentoo Linux live DVD "Choice Edition" https://distrowatch.[...] 2016-08-22
[81] 웹사이트 Gentoo Linux releases the 20160704 LiveDVD - Choice Edition Part Dos https://wiki.gentoo.[...] Gentoo.org 2016-07-04
[82] 웹사이트 New 10.0 profiles are in repository https://archives.gen[...] Gentoo.org 2009-08-06
[83] 웹사이트 New 13.0 profiles and deprecation of 10.0 profiles http://www.gentoo.or[...] Gentoo.org 2013-02-10
[84] 웹사이트 New 17.0 profiles in the Gentoo repository http://www.gentoo.or[...] Gentoo.org 2017-11-30
[85] 웹사이트 Experimental amd64 17.1 profiles up for testing http://www.gentoo.or[...] Gentoo.org 2017-12-26
[86] 웹사이트 Profile upgrade to version 23.0 available https://www.gentoo.o[...] Gentoo.org 2024-03-22
[87] 웹사이트 Hardening Linux Usando Controle de Acesso Mandatório http://www.seer.ufrg[...]
[88] 웹사이트 Hardened Linux kernel sources removal https://www.gentoo.o[...] 2017-08-19
[89] 웹사이트 Project:Infrastructure/Incident Reports/2018-06-28 Github - Gentoo Wiki https://wiki.gentoo.[...]
[90] 뉴스 The aftermath of the Gentoo GitHub hack https://www.networkw[...] Network World 2018-07-10
[91] 웹사이트 Gentoo GitHub repo hack made possible by these 3 rookie mistakes https://www.theregis[...] 2018-07-05
[92] 웹사이트 Hackers took over the Gentoo Linux GitHub repository https://techcrunch.c[...] 2018-06-29
[93] 웹사이트 GitHub Repositories of Gentoo Linux Hacked! https://itsfoss.com/[...] 2018-06-29
[94] 서적 Linux Bible: Boot Up to Ubuntu, Fedora, KNOPPIX, Debian, openSUSE, and 11 Other Distribu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5-05
[95] 웹사이트 (gentoo) Contents of /xml/images/znurt.jpg https://sources.gent[...] Gentoo.org 2002-11-09
[96] 웹사이트 無償Linuxディストリビューション https://jp.linux.com[...]
[97] 웹사이트 Linuxディストリビューション https://www.ossj.jp/[...]
[98] 문서 Linuxの他の読み方
[99] 웹사이트 Gentoo Linux - About Gentoo http://www.gentoo.or[...] Gentoo.org 2007-09-17
[100] 웹사이트 Gentoo에 대한 정보 http://www.gentoo.or[...]
[101] 웹사이트 The secret origins of Google's Chrome OS http://www.zdnet.com[...] ZDNet 2013-03-06
[102] 웹사이트 Linux 배포판 1부 http://www.ibm.com/d[...]
[103] 웹사이트 Linux 배포판 2부 http://www.ibm.com/d[...]
[104] 웹사이트 Linux 배포판 3부 https://www.ibm.com/[...]
[105] 웹사이트 Gentoo Linux - New release strategy to provide more current install media http://www.gentoo.or[...] Gentoo.org 2008-09-22
[106] 웹사이트 Gentoo Linux - Ten Years Compiling: 1999 - 2009 http://www.gentoo.or[...] Gentoo.org 2009-10-04
[107] 웹사이트 Gentoo LiveDVD "Crispy Belgian Waffle", FOSDEM 2017 edition https://lwn.net/Arti[...] LWN.net 2017-02-15
[108] 웹사이트 Chromium OS Developer Guide https://sites.google[...]
[109] 웹사이트 Chromium Project FAQ https://www.chromium[...] 2018-06-20
[110] 뉴스 Funtoo Linux History https://www.funtoo.o[...] funtoo.org 2017-02-09
[111] 웹인용 WebCite query result http://www.gentoo.or[...] 2009-06-28
[1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entoo.or[...] 2010-06-07
[11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entoo.or[...] 2011-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